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국가수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를 수행하고 분석하여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목적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교교육의 성과와 성취도 변화 추이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파악하고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현재 수준을 바로
알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적합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참여하고 있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로는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TIMSS(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ICILS(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가 있습니다.
PISA
PISA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에서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로서, 참여국의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식을 상황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 소양(읽기, 수학, 과학 등)을 평가하고 교육맥락변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TIMSS
TIMSS는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에서 주관하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로서,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 및 과학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성취도와 관계가 있는 교육맥락변인을 조사하는 연구입니다.
ICILS
ICILS는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에서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로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목적
인지적 영역(읽기, 수학, 과학, 혁신적 영역)의 성취도 및 추이를 파악하고, 비인지적 영역의 특성 및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합니다.
평가 내용
- 상황과 목적에 맞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인 ‘소양(literacy)’을 평가합니다.
- 인지적 영역은 핵심 영역인 읽기, 수학, 과학과 주기별로 혁신적 영역을 선정하여 평가합니다.
- 또한, 비인지적 영역인 교육맥락변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 학교,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합니다.
- PISA 2018 인지적 영역의 평가틀
평가 대상
- PISA는 최소 중학교 1학년 이상의 교육 기관에 재학하고 있으며, 만 15세에 해당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표집 평가를 시행합니다.
평가 주기
- PISA는 3년 주기로 시행하고, 주기마다 핵심 영역 중 주 영역*을 선정하여 새 문항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주영역과 관련된 교육맥락변인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합니다.
* PISA 2000(읽기), PISA 2003(수학), PISA 2006(과학), PISA 2009(읽기),
PISA 2012(수학), PISA 2015(과학), PISA 2018(읽기), PISA 2022(수학)
- COVID-19로 PISA 2021은 PISA 2022로 변경하여 시행
평가 도구
참여국
- 우리나라는 첫 번째 주기인 PISA 2000부터 본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 28개국의 OECD 회원국을 포함하여 전체 43개국이 참여한 PISA 2000을 시작으로 참여국이 점차 증가하여, PISA 2018에는
37개국의 OECD 회원국을 포함하여 79개국이, PISA 2022에는 80여 개국이 참여하였습니다.
점수 및 수준 체계
- PISA 점수는 평균 500점, 표준편차 100점인 척도점수이며, PISA 2006부터 국가별 순위를 범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PISA 2018에서 읽기는 1수준(1c, 1b, 1a수준)에서 6수준까지 8개의 수준, 수학은 1수준에서 6수준까지 6개의 수준, 과학은
1수준(1b, 1a수준)에서 6수준까지 7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성취특성을 설명합니다.
연구자료
PISA 연구 관련 홈페이지
목적
국제수준에서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도 및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들을 연계·분석하여 참여국의 교육정책 수립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합니다.
평가 내용
- 참여국의 공통된 교육과정에 근거한 수학 및 과학 성취도
-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된 교육맥락변인
평가 대상
평가 주기
- 4년
- TIMSS 1995를 첫 주기로 시작하여 4년 주기로 TIMSS 1999, TIMSS 2003, TIMSS 2007, TIMSS 2011, TIMSS 2015, TIMSS 2019가 시행되었으며 현재 TIMSS 2023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첫 주기부터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평가 도구
TIMSS
성취도 검사지 |
- 컴퓨터 기반 평가로 실시
- 평가문항을 11종의 검사지로 구성함
- 선다형, 구성형, 시나리오 기반 수행형(문제해결 및 탐구 과제; PSIs)
|
설문지 |
- 초등학교 4학년: 학생, 학부모, 담임교사, 학교장 대상 설문
- 중학교 2학년: 학생, 표집학급 수학 및 과학 담당 교사, 학교장 대상 설문
|
참여국 (TIMSS 2019 기준)
- 초등학교 4학년 : 58개국
- 중학교 2학년 : 39개국
연구자료
해외 관련 사이트
목적
국제수준에서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들과 연계·분석하여 참여국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합니다.
평가 내용
평가 대상
- 평균 나이가 13.5세 이상인 학생,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에 해당
평가 주기
- 5년
- ICILS 2013을 첫 주기로 시작하여 5년 주기로 ICILS 2018이 시행되었으며 현재 ICILS 2023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첫 주기부터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ICILS 2018 평가 도구
ICILS 2013
구분 |
검사 모듈 주제 |
검사 제한 시간 |
검사 모듈 배분 |
컴퓨터·정보 소양 |
밴드 경연대회
|
30분
|
- 5개 검사 모듈 중에서 학생별로 2개 검사 모듈이 임의로 배정됨
|
호흡
|
30분
|
현장학습
|
30분
|
보드게임 동아리
|
30분
|
쓰레기 줄이기
|
30분
|
컴퓨팅 사고력 |
자율주행 버스
|
25분
|
- 모든 학생에게 배정됨
|
드론으로 농사짓기
|
25분
|
- 모든 학생에게 배정됨
|
참여국(ICILS 2023 기준)
- ICILS 2023에 30여 개국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연구자료
ICILS 연구 관련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