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해년도 기본연구사업으로 제한
우리 원에서 수행하는 중요 사업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구성하되, 보안 과제 및 민감한 사회적 쟁점이 예상되는 과제는 제외
일련번호 | 사 업 명 | 선정기준 | 진행사항 (정상/지연/중단) |
사업내역서 등록여부(O,X) |
---|---|---|---|---|
2022-1 |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진단도구 개발(Ⅲ):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토 | 가, 나, 다 | 정 상 | O |
2022-2 |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 2022 본검사 시행 및 PISA 2018 결과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추이 분석 | 가, 나, 다 | 정 상 | O |
2022-3 | KICE 이독성 지수(KICE ReadabilityIndex) 자동측정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연구(Ⅰ):텍스트와 어휘 DB(초·중학교급) 구축 및 자동측정 프로그램 기초 설계 | 가, 나 | 정 상 | O |
2022-4 |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지원시스템(i성취)을 위한 컴퓨터 기반 출제 및 시행 체제 구축 | 가, 나 | 정 상 | O |
2022-5 | 미래 사회 메가트렌드에 따른 학교지식의 구상과 교육과정 재구조화(Ⅱ) | 가, 나 | 정 상 | O |
2022-6 | 초·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가, 나 | 정 상 | O |
2022-7 | 교과교육에서의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공간 활용 방안 연구 | 가, 나 | 정 상 | O |
2022-8 | 인구감소 대비 지역별 인구추계 기반 미래학교 시나리오 구축 | 가, 나 | 정 상 | O |
2022-9 |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유형화에 따른 맞춤형 교수·학습 방안 탐색(Ⅰ) | 가, 나 | 정 상 | O |
2022-10 | 초·중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Ⅰ) : 진단 도구 개발 | 가, 나 | 정 상 | O |
2022-11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한 교과별 학업성취 유형 분석 및 맞춤형 피드백 제공 방안 연구 | 가, 나 | 정 상 | O |
2022-12 | 컴퓨터 기반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자동채점 방안 설계(Ⅰ) | 가, 나 | 정 상 | O |
2022-13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성취평가제 개선 방안 | 가, 나 | 정 상 | O |
2022-14 | TIMSS 2019/ICILS 2018 심층 분석 및 TIMSS/ICILS 2023 예비검사 분석 | 가, 다 | 정 상 | O |
2022-15 | 국가 사회적 요구 변화에 따른 교과용도서 공통 편찬 준거 개선 연구 | 가, 다 | 정 상 | O |
2022-16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지원 체제 탐색 | 가 | 정 상 | O |
2022-17 |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현장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 | 가 | 정 상 | O |
2022-18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실행 체제 구축 방안 | 가 | 정 상 | O |
2022-19 | 중학생의 학습자 주도성 함양을 위한 교수ㆍ학습 방안 | 가 | 정 상 | O |
2022-20 | 교육의 출발선 평등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Ⅱ) | 가 | 정 상 | O |
2022-21 | 고등학생의 진로·학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탐색: 진로집중학기를 중심으로 | 가 | 정 상 | O |
2022-22 | 지역사회 교육 자원을 연계한 교과 수업 지원 방안: 중학교를 중심으로 | 가 | 정 상 | O |
2022-23 | 디지털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강화 방안 | 가 | 정 상 |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