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학교교육 변화를 견인하는 연구 및 정책 지원 강화 |
Ⅰ-1. 미래 교육을 선도하는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 연구 강화 |
[Ⅰ-1-①] 미래 사회 대비 교육혁신을 선도하는 교육과정 방향 모색
[Ⅰ-1-②] 미래 학생 역량 함양을 위한 교실 수업 혁신 지원 강화
[Ⅰ-1-③] 디지털 전환 사회에 대응한 혁신적 교육평가 방안 모색
|
Ⅰ-2. 학생 맞춤형 학교교육 실현을 위한 연구사업 강화 |
[Ⅰ-2-①]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위한 연구사업 강화
[Ⅰ-2-②] 개별화 학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지원 강화
[Ⅰ-2-③]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및 현장 안착 지원
[Ⅰ-2-④]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구 개발 및 실행 지원
|
Ⅱ. 교육평가 사업의 공신력 강화 |
Ⅱ-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신뢰도 제고 |
[Ⅱ-1-①]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안정적 출제
[Ⅱ-1-②]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 방안 모색
|
Ⅱ-2. 국가수준 평가사업의 안정화 |
[Ⅱ-2-①] 국가수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안정적 시행
[Ⅱ-2-②] 맞춤형 교육 지원을 위한 국가수준 자율평가 제체 구축 및 운영
[Ⅱ-2-③] 교과용도서 검정 사업의 안정적 운영
|
Ⅲ. 교육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연구성과의 효용성 강화 |
Ⅲ-1. 과학적인 교육정책 수립 지원 활성화 |
[Ⅲ-1-①] 교육데이터 활용 체제 구축 및 운영
[Ⅲ-1-②] 국가수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도 제고
|
Ⅲ-2. 연구사업의 환류 체제 강화 |
[Ⅲ-2-①] 수요자 지향의 연구 기획 강화
[Ⅲ-2-②] 연구사업 성과의 공유 및 확산 채널 다양화
|
Ⅳ. 협엽과 유연성을 통한 경영혁신 추진 |
Ⅳ-1. 자율과 협업의 조직문화 정착 |
[Ⅳ-1-①] 구성원의 소통확대 및 협업문화 고양
[Ⅳ-1-②] 인권존중 문화 확산 및 윤리 경영 장착
|
Ⅳ-2. 업무 환경 변화에 대응한 유연한 조직 운영 |
[Ⅳ-2-①] 구성원 역량강화 및 안전경영체제 구축
[Ⅳ-2-②] 효율적인 조직 및 복무제도 운영
[Ⅳ-2-③] 연구와 사업의 정보화 지원 체계 개선
|